31 0 0 0 2 0 5개월전 0

핵 폭발 대응지침

첫 72시간을 위한 계획 수립

2023년 3월 미국 연방재난관리청이 점점 높아지는 핵 공격, 핵 폭발에 대비하여 대피안내서를 만들어 배포하였다. 이를 번역하고, 일부 자료를 추가하여, 이번에 간행하게 되었다. 본 서적은 아마, 한국에서 출판된 최초의 핵 전쟁 대피안내서일 것이다. 핵 폭발 후 72시간 사이에, 나와 가족의 생사가, 사람들 대부분의 생사가 결정된다. 매우 핵심적인 시간대이다. 일반인들은 원자탄이 터지면 모두가 죽는다고 생각한다. 핵 폭발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말한다. 핵 폭발 후라도 적절히 대처하면 사상자를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다. 20만 사상자가 2만으로 줄어든다. 독자들은 믿지 못할 것 같다. 히로시마 원자탄이 터졌을 때, 노무라 에이조(47세)는 지하실로 서류를 가지..
2023년 3월 미국 연방재난관리청이 점점 높아지는 핵 공격, 핵 폭발에 대비하여 대피안내서를 만들어 배포하였다.
이를 번역하고, 일부 자료를 추가하여, 이번에 간행하게 되었다.
본 서적은 아마, 한국에서 출판된 최초의 핵 전쟁 대피안내서일 것이다.
핵 폭발 후 72시간 사이에, 나와 가족의 생사가, 사람들 대부분의 생사가 결정된다. 매우 핵심적인 시간대이다.

일반인들은 원자탄이 터지면 모두가 죽는다고 생각한다. 핵 폭발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말한다. 핵 폭발 후라도 적절히 대처하면 사상자를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다. 20만 사상자가 2만으로 줄어든다.
독자들은 믿지 못할 것 같다.
히로시마 원자탄이 터졌을 때, 노무라 에이조(47세)는 지하실로 서류를 가지러 갔다. 다시 지상으로 올라오니 세상이 변해 있었다. 공중 폭발 지점과 그의 직선거리는 600m. 억세게 운이 좋았고, 그는 살아남았다.
핵 전쟁이어도, 사전에 준비하고 대피하면, 정말 엄청난 사람들이 살아남을 것이다.

연방재난관리청이 작년에 발간한 "핵 폭발 대응에 관한 선제적인 조언(Planning Guidance for Response to a Nuclear Detonation)은 번역 중이다.
연방재난관리청이 발간한 "72시간 계획수립"과 "선제적인 조언"은 공공기관의 재난 담당자를, 민방위 담당자를 위한 책이다.
그러나 이 2권은, 미리 대비하려는 우리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개인을 위한 대피안내서는, "선제적인 조언"을 간행한 이후에 따로 출판할 예정이다.

세상이 점점 위험해진다. 이미 공군 전투기 조종사들이 우크라이나로 파병된 것 같다. 한국이 전쟁에 참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다수 사람들은 위험을 깨닫지 못한다.
이 책은 한반도 전쟁의 위험을 느끼면서, 미리 준비하려는 자들을 위한 책이다. 노무라 에이조는 600m 상공에서 원자탄이 터졌는데 살았다. 아무 준비없이, 그냥 지하실에 갔다는 이유만으로 살아남았다. 만약 미리 준비하면, 우리는 노무라 에이조보다 훨씬 더 안전하게 생존할 것이다. 비용도 훨씬 줄일 수 있다.
정부가 위험에 준비하고 있는가? 만약 정부가 돌보지 않는다면, 우리 스스로가 자신을 돌보아야 한다.

핵 전쟁 대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식량도 돈도 아니다. 핵 폭발의 특징과 피난 방법(Know how)을 아는 것이다.
자신과 가족을 살리고 싶은 사람은 이 책과, "선제적인 조언"을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 특히 "선제적인 조언"은 현존하는 최고의 대피안내서이다. 미국 정부의 여러 부처가 협력하여 간행한 최신 서적이다.

분명히 밝히는데, 이 책은 개인을 위한 혹은 가족을 위한 대피안내서가 아니다. 민방위 담당자를 위한 책이다. 그러나 저렴한 가격을 고려하면 사서 읽어볼 만하다. 시중에는 관련 서적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마산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졸업
대입 논술을 가르치면서 한국일보에 연재물을 기고하였다. 동아일보에도 기고하였다.
대우조선매각 보고서, 남북조선협력 제안서, 연료전지 선박의 개발 필요성 등을 작성하였고, 국제시사에 관해서도 웹진 등에 연재물을 기고한 적이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